Pull up : chin-up (턱걸이)와 같은 의미이다. 전압을 항상 높은 곳에 묶어 놓는다는 뜻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으며 기본이 logic 1이다. 스위치를 닫으면 그라운드로 전류를 통하에 가혀 logic 0이됨.
Pull down : 반대로 항상 그라운드에 묵여있어 기본 전압이 0V이다. 스위치를 닫아야 logic 1이 된다.
참고자료 : http://donghwada.tistory.com/17
디지털 시스템의 pin에 값이 인가된 상태(0이든 1이든 간에)를 Active라고 부르며 logic 0 active인 pin을 Low Active, logic 1 active 인 pin을 High Active라고 부른다.
실 세계에서 논리 0, 1로 똑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기본상태를 high 혹은 low 전압에 묶어두고 상태 변화를 관찰하여야 한다. 그래서 pull up 혹은 pull down 저항 방식으로 기본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logic 0으로 허용할 오차범위를 Low Active, logic 1로 허용할 오차범위를 High active라고 한다.
CS(Chip Select)라는 pin이 Low Active일 때, 그것을 명확히 하기 위해 /, _N -, * 등을 붙여서 CS/, CS_N, CS, CS* 등으로 표기하며 CS bar라고 읽는다.
High Active일 때는 아무 것도 붙지 않는다. (그대로 CS)
위 회로도에서 Vcc는 Pull up을 위한 전원이고, Rc는 Pull up을 위한 저항이다. Transistor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R1은 보통 Masterchip의 output이 logic 0일 때 0V를 제대로 내어줘야 하는데 약간의 전압을 찔끔찔끔 내보낼 수가 있다. 이를 대비하여 만일 Transistor가 ON이 될 만큼의 전입 이하에서는 확실하게 0V로 만들어주기 위하여 R1을 달아 Base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만들어준다.
Slave가 Low Active라고 가정할 때 Master가 0을 주면 Transistor는 off 상태(0을 주었으니 스위치를 키지 않음)이며, Slave로 들어가는 input은 pull up이 되어 high(pull up 저항이 걸려있었으므로 기존 상태에서 변화가 없음 -- 동작 안 함)가 된다.
는 invertor로써 input을 반전시킨다.
스위치가 master chip 내부에 아예 들어가있는 경우를 Open Collector라고 부른다. 이런 구조는 Collector가 output으로 나와 있으며 아무것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여러개의 Master가 한 개의 Slave에 연결될 때 아주 유리한 구조이다.
참고 : http://egloos.zum.com/slgi97/v/10874166
2016-11-24 추가
더 쉽게 잘 설명된 곳 : http://blog.xcoda.net/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