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lean 측면에서 파이썬은 C의 영향을 받은듯 하다.
-> 1은 True, 0은 False이다.
논리연산자
&&는 and로 쓰고, ||는 or로 쓴다.
if, elif, else로 쓴다. (else if가 아니다)
0부터 3까지 출력하기
(1) for i in [0, 1, 2, 3]:
print(i)
(2) for i in range(0, 4):
print(i)
range의 용법
range(x, y)는 (x, y] '범위'를 뜻한다. // y는 포함하지 않음에 주의.
저 범위에 해당하는 수를 가지는 리스트를 간단히 list(range(x,y))로 만들 수 있다.
for-each형태
(1) for와 range
stocks=['a', 'b', 'c']
for company in stocks:
print ("%s is in list" % company)
(2) for와 tuple
튜플은 리스트와 유사하지만 final 데이터이다. 용법은 [] 대신 ()로 쓰는 것만 차이가 난다.
(3) for와 dictionary
key, value를 쌍으로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므로 each 형태도 key, value를 모두 선언해야 한다.
dictionary 형태는 items() 함수로 그 쌍을 불러줘야 함에 주의.
stocks = {"a":10. "b":20. "c":30}
for company, price in stocks.items():
print("%s is %s dollars" % (company, stocks[company]))
while문 (break나 continue의 사용은 c와 동일)
i = 0
while i <= 10:
print(i)
i = i+1
2차원 배열과 loop
apart = [[101, 102, 103, 104],[201, 202, 203, 204],[301, 302, 303, 304], [401, 402, 403, 404]]
위 형태의 apart list는 2차원 리스트이다.
apart[0]은 [101, 102, 103, 104] 형태의 1차원 리스트이다.
간단하게 for문을 이용해 루프를 돌리면
for floor in apart:
for room in floor:
print room
2차원 배열 생성
matrix
=
[[
0
for
col
in
range
(
10
)]
for
row
in
range
(
10
)]
내일 배울 내용 : https://wikidocs.net/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