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이용해서 프레임워크 소스를 navigation 하고 싶었는데 결국 방법을 찾지 못했다. 굳이 해보려고 고집했던 이유는 이클립스를 완전히 배제하고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개발을 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이틀 정도 헤매고 나서 다시 이클립스로 돌아왔더니 10분만에 모든 것을 해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씨름한 시간이 아깝긴 하지만 그 노력은 나름대로 의미가 있었다고 남기고 싶다 (...응?)
다음은 Android SDK가 설치된 상태에서 Java only 상태의 Eclipse에 안드로이드 소스 분석 환경(Remote debugging도 가능)을 구성하는 방법니다.
1) Run eclipse
2) Help - Install New software - Add
- 이름 : ADT / 주소 : https://dl-ssl.google.com/android/eclipse/
- 다음 두가지만 선택 : DDMS, Development Tools (App은 Android Studio를 이용할 것이므로 최소한으로 선택했다)
3) Eclipse restarted
4) SDK Preferences - Use existing SDKs - Finish
5) File - New - Java Project
- uncheck 'Use default location'
- set path of the PROJECT_ROOT directory
- finish.
6)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프로젝트 이름 우클릭 > Properties > Builder > Java builder 체크를 uncheck
7) Window - show view - Declaration
5번 스텝에 대해서는 주의할 점이 있다.
PROJECT_ROOT/android/frameworks 같은 소스트리에 있다고 가정할 때,
$ cd PROJECT_ROOT
$ tar cvf base.tar android/frameworks/base
Windows 환경에서도 같은 소스트리 구조를 만든다.
- PROJECT_ROOT 폴더 안에서 base.tar 압축을 푼다.
Eclipse에서는 Java Project를 새로 생성하고, default설정 말고 Browse 버튼을 눌러 PROJECT_ROOT 폴더를 선택한다.
새로운 디렉토리를 이미 생성한 프로젝트에 추가하려고 할 때는 이렇게 하자.
1) 기존 디렉토리 구조를 유지하면서 알맞은 위치에 새 디렉토리를 복사
2) 프로젝트 이름 우클릭 - Build path - Configure build path
3) Source tab - Add Folder - 추가할 디렉토리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