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 임베디드

Transistor

CodePoetry 2015. 8. 23. 17:10

TR(Transistor)는 Trans-Resistor이다. 간단한 회로이론에 의하여 resistor 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의미. resistor의 용도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다.

npn 형만 한 번 보자.

B는 base, E는 Emitter, C는 Collector라고 부른다. B는 트랜지스터가 동작하게 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화살표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라고 보는 것이 좋겠다. 스위치를 더 세게 누르면 C와 E 사이의 전류가 더 많이 흐르고 덜 세게 누르며 그 반대가 된다. '얼마나 세게 누를까'라는 것은 B와 E 사이의 전압을 의미하며 바로 이것이 트랜지스터 기술이다.

Transistor는 평소에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하다가 화살표 방향으로 전압을 넣어주어 전압의 양을 얼마나 넣어 줄꺼냐에 따라 C와 E 사이의 전류량을 결정한다.

B의 작은 압력 변화에도 CE 간 전류량이 획획 변하는 부분을 활성영역,

B에 흐르는 전압이 너무 낮아서 CE 사이에 전류가 전혀 못 흐르는 영역을 차단 영역,

B에 흐르는 전압이 너무 높아서 CE 사이에 전류가 더 이상 흐르지 못하는 영역을 포화 영역이라고 한다.

Amplifier(증폭기)는 활성 영역의 특징을 이용해 아주 작은 전압 신호를 B에 흘려주면 CE 간에 전류가 더 큰 폭으로 휙휙 움직이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증폭 회로의 3종류 3개의 pin 중 어느 핀에 접지되었는가에 따라

  • Emitter 접지회로 : 전류, 전압 모두 증폭이 되어 증폭기에 가장 많이 사용. 입력과 출력은 반전.
  • Collector 접지회로 : 전류 증폭만 되고 입출력은 그대로. 주로 최종단ㄷ에서 전류 증폭용 또는 임피던스 매칭용으로 사용.
  • Base 접지회로 : 전압만 증폭되고 입출력은 그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