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저항(R)이렇게 표시하고 단위는 Ω(옴)이다.V = IR에 의하여, I = V/R이 되는데 이는 '저항의 크기를 적당히 바꾸면 회로의 특정 부분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리적으로 저항의 단면적이 작을수록, 길이가 길수록 저항이 강력해진다.전류가 저항을 지나고 나면 그만큼의 전압이 원래 전압에서 빠지게 된다. (전압 potential). 캐패시터(C)와 인덕터(L)는 교류(AC -- 주파수를 가진)전류, 교류 전압 입장에서 보았을 때 주파수에 따라 저항 값을 틀리게 보게 한다. 캐패시터 - 높은 주파수의 전압일수록 저항 작게 느낌. AC(고주파)만 통과시키고 DC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는 효과. DC Block, bypass cap이라고도 부른다. 단위는 F(패럿). d..
신호와 주파수 영역 주파수란 '얼마나 자주?'란 의미이다. 보통 cos과 같이 주기를 갖는 신호를 AC, 가지 않는 신호를 DC라 한다.AC(교류)는 극성이 바뀌는 신호, DC(직류)는 극성이 바뀌지 않는 신호. Cos(2πft)라는 함수에 주파수 f = 1Hz을 넣었다면, 주파수 입장에서 보면 주파수의 크기는 1Hz 단 한 개뿐이다.Fourier Transform는 '모든 신호는 무한개의 cos 또는 sin(주기함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가 그 요점이다. 결국, 시간 축에서의 신호를 주파수 별로 분리해준다.어떤 신호 = 어떤 주기의 주파수 성분 + 또 어떤 주기의 주파수 성분 + 또 또 어떤 주기의 주파수 성분 .....각설하고, 이 세상의 모든 신호는 cos과 sin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
· 프로세서
출처 : http://recipes.egloos.com/5232056 MMU는 물리 주소와 가상 주소의 맵핑을 가지고 장난을 친다.이것의 장점은 Task마다 혹은 프로그램 마다 똑같은 주소를 사용해도 되게 만들어 준다. 또한 흩어진 물리 주소도 연속된 것인양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Memory 영역의 특성을 나눠주기도 하는데, Cache영역과 Non Cache영역, 그리고 쓰기 관련해서는 Write Bufferable과 Non Write Bufferable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심지어 어떤 여역은 Write를 못하게 Read only 영역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CPU에게서 받은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바꾸면 뭐가 필요할까?1) 가상주소와 물리 주소를 연결해주는 Table! = 페이지 테이블 2) ..
· 소식정리
프로그래밍/개발자능력 있는 개발자들의 7가지 습관블로그 주도 개발 - Outsider 툴Android Studio 메모리 분석 도구프로그래머를 위한 에디터 배색 안드로이드/리눅스Linux memory usage troubleshooting슈퍼드로이드 - 저자가 운영하는 카페System Service 추가하기 기타런닝 머신을 이용해서 지방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팁주말에 내 삶을 다시 돌아보고 싶다면 추천하는 강연 3편
· TechNote
대부분의 매뉴얼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음. http://mcchae.egloos.com/11018557 *** 아래는 위 사이트에서 제공하지 않는 링크에 대한 것 *** - ctags.exe 다운로드 후 sublime text 설치 위치에 복사 https://github.com/SublimeText/CTags - Sublime package control 설치 sublime에서 콘솔을 열어 python code를 붙여 넣은 후 실행했음. https://packagecontrol.io/installation#st2 - add project 부분은 실제 source navigation을 수행할 디렉토리를 지정하면 됨 (예 : android/) - tag 만들기 윈도우 콘솔로 들어가서 ctags -R..
CodePoetry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9 Page)